[내예기] AI가 신약을 만든다? 구글 최고경영자의 예언 실현될까?

김민영 기자 2024.04.06 12:04:20

국내 제약사들, 앞다퉈 AI 신약개발 ‘시동’
시간·비용 대폭 절감…임상 성공률 기대↑
시장 확장성 무궁무진…이제부터가 ‘시작’

 

(왼쪽부터) HK이노엔, 한미약품, JW중외제약 사옥 전경. (사진=각사 제공)

[내예기]는 내일을 예비하는 기업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시계 제로에 놓인 경제상황에서 차근히 미래를 준비하는 기업들을 다룹니다. 불확실성이란 이름 아래 전망은 힘을 잃고 있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필요한 것은 만반의 대비입니다. 그 진행 과정을 만나보시죠. 이번에는 국내 제약업계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신약개발에 힘을 쏟는 이야기를 다뤘습니다. <편집자주>




“범용인공지능(AGI)이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확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만큼, 2~3년 내 인공지능(AI)이 설계한 약을 병원에서 보게 될 것이다.”

‘알파고 아버지’로 불리는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서 첫날 기조연설자로 나와 던진 말이다. 그는 “AI는 신약개발에 평균 10년이 걸리는 것을 몇 달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며 ‘알파고’가 AI 시대를 앞당겼다는 분석을 내놨다.

 

‘알파고 아버지’로 불리는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 (사진=연합뉴스)

AI가 무한히 발전할 수 있다는 AGI(범용인공지능)는 인간과 유사한 인공지능의 한 유형으로, 인간이 할 수 있는 지적인 업무를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는 기계적 지능을 말한다.

AGI는 바이오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노바티스가 개인 맞춤형 황반변성 치료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마치고, 약물 디자인 등을 AI로 활용하기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 제약사들도 앞다퉈 AI 신약 개발에 시동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유한양행, 대웅제약, 한미약품, HK이노엔, JW중외제약 등 여러 대형 제약사들이 자체적으로 AI 기술을 도입하거나 AI 전문기업과 협업해 신약개발에 나서고 있다. 특히 양물재창출, 타켓발굴, 의약품 후보물질 발굴 등에 있어 AI 기술력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동아제약의 경우, 지난해부터 AI 플랫폼 기술기업들과 연달아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지난 2월에는 AI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 아론티어와 협약을 맺고 첨단의약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계열사인 동아에스티(ST)도 AI 기반 신약 개발 기업 심플렉스, 연세암병원과 함께 고품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치매치료제 등 약물 개발에 나서고 있다.

한미약품은 아이젠사이언스의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분야에서 신규 후보물질 발굴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 1월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양사가 ‘AI 플랫폼 기반 항암신약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아이젠사이언스가 독자 보유한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규 항암 후보물질을 발굴 및 제안하면, 한미약품이 신약개발 전문기업으로서 축적한 연구개발(R&D) 역량을 토대로 해당 물질의 도입 여부를 평가한다는 계획이다.

한미약품 측은 이번 협약으로,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이를 통해 임상 단계에서 효율성과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W중외제약 자회사 C&C신약연구소의 ‘주얼리’와 ‘클로버’는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퍼스트 인 클래스는 새로운 작용 기전을 사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최초의 약물 즉 신약개발을 의미한다. ‘주얼리’와 ‘클로버’는 항암이나 면역질환, 재생의학 분야의 물질을 연구하고 있다. 여기에 AI(인공지능)·딥러닝(기계학습)을 더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동국제약은 온코빅스의 약물 도출 플랫폼인 ‘TOFPOMICS(토프오믹스)’를 다양한 질환군의 약물 설계에 적용해 연구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삼진제약은 뇌 질환 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에 1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결정한 바 있다.

 

국내 제약업계가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신약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사진은 한 제약사의 신약 생산 연구소 내부 모습. (사진=CNB뉴스 DB)

GC녹십자그룹의 GC셀은 인공지능 기업 루닛과 AI를 기반으로 유방암·위암 등 고형암 치료 후보물질을 연구 중이다. 지난해 12월 양사는 ‘AB-2021’의 공동연구 및 공급계약을 맺기도 했다. AB-201은 유방암·위암 등 고형암에 쓰이는 CAR-NK 세포치료제다.

 

이처럼 국내 제약사들이 AI 신약 개발에 공들이는 이유는 시장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AI 활용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AI 신약개발 시장은 2021년 기준 1340만 달러로 전 세계에서 9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는 2026년까지 연평균 34.6%로 성장해 5910만 달러(약 79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CNB뉴스에 “AI신약이 성장성이 큰 시장임에도 아직은 여러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며 “정부가 신약개발을 위한 AI 인프라 구축과 보건의료 데이터의 개방성 및 접근성 강화를 위한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CNB뉴스=김민영 기자)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