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확률 1.7% 바늘구멍 뚫고 ‘냉탕·온탕’ 오간 1·2심…최대 고비 넘겨
서울고법 “李, 김문기·백현동 발언 허위 아니다”…‘선거법 위반’ 모두 무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자신의 정치적 명운을 가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의 항소심에서 1심과 2심에서 ‘당선무효형’과 ‘전부 무죄’라는 ‘냉탕·온탕’을 오가며 확률 1.7%에 불과한 바늘구멍을 뚫었다. 조기 대선이 실시될 경우, 향후 대권 행보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이 대표는 지난 2021년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김문기 모른다’고 한 발언과 ‘백현동 발언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는 혐의로 지난 2022년 9월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피선거권 상실형을 받았으나 항소심에서 대반전 판결을 받아 대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만약에 항소심에서도 1심의 형이 유지됐다면 이 대표의 의원직은 물론, 향후 10년간 피선거권이 박탈이라는 무거운 족쇄를 차고 대법원까지 가야 했지만, 2심에서 이를 뒤집으면서 이 대표의 어깨를 짓누르던 ‘사법 리스크’를 상당 부분 털어냈다는 평가와 함께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재명 대세론’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도권 민주당 한 중진 의원은 26일 CNB뉴스 기자와 만나 “이재명 대표의 지지도가 선두를 달리고 있음에도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혀 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소위 ‘사법 리스크’였는데 그것이 일부 해소돼 향후 지지율이 더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이 대표의 당내 리더십도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그리고 이 의원은 “특히 그대로 형이 확정됐으면, 당이 지난 대선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보전받은 비용 434억원까지 반환해야 한다는 점도 이 대표의 리더십에 악재로 작용할 요인이었다”면서 “그러나 2심 판결로 이 같은 리스크를 모두 털어내면서 이 대표의 당 장악력은 더욱 강해지게 된 것은 물론,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 당이 이 대표를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최근 3년간(2021~2023년) 형사 항소심 판결 결과를 분석한 결과, 1심에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사건(3만5099명)이 2심에서 무죄(585명)로 뒤집힌 경우는 약 1.7%에 불과했으며, 2심 판결이 3심인 대법원에서 변경(파기환송)된 비율은 3.7%(3405명 중 127명)에 불과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