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울산시농업기술센터, 봄철 가뭄 지속에 농업인 적극적인 대응 당부

밭가뭄 '주의' 단계…농업인들 대응 방안 안내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5.04.11 17:32:28

울산시청 전경(사진=울산시 제공)

울산시농업기술센터는 11일 최근 봄철 가뭄으로 인한 밭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업인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안내했다.

 

지난 7일 기준, 울산 지역의 밭가뭄이 '주의' 단계를 기록해 농업인들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날 기준, 중·남·동·북구의 작물 재배지 토양유효수분율(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토양 수분의 함량)은 42.3%로 '주의' 단계에 해당하며, 울주군은 34.9%로 역시 '주의' 수준이다.

 

강수 부족이 지속될 경우, 오는 4월 14일까지 중·남·동·북구는 토양유효수분율 31.3%로 '주의' 단계가 유지되고, 울주군은 28.4%로 '경계' 단계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마늘, 양파 등 주요 밭작물의 구 비대기에 수분 부족으로 인한 생육 저하와 수확량 감소 우려를 낳고 있다.

 

반면, 비경작지는 중·남·동·북구 74.0%, 울주군 73.9%로 정상 수준을 유지 중이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10~12일 울산지역에 약한 비가 예상되나 강수량이 충분치 않을 경우 가뭄 완화 효과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이에 농업기술센터는 농업인들이 자발적으로 가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관리 기술을 제안했다.

 

마늘·양파는 관수가 가능한 경우 3월 가뭄 시 자동 스프링클러를 가동하거나 고랑에 물을 대고, 구 비대기(4~5월)에는 10일 간격으로 관수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양파 기준으로 관수 시 수확량이 무관수 대비 최대 51% 증가한다.

 

관수가 어려운 경우에는 이랑 위 겉흙을 긁어낸 뒤 볏짚, 퇴비, 왕겨 등 유기물을 덮어 토양 수분 증발을 억제해야 한다.

 

콩·고구마·참깨·땅콩은 파종 전의 경우 토양 수분이 건조(40% 미만)하면 비가 온 후 파종하고, 가뭄 지속 시 녹두, 팥, 메밀 등 대파 작물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파종 한계기: 8월 5일, 남부 기준).
파종 후에는 관수 가능 지역은 점적 관수나 고랑 물대기를 실시하고 관수 불가능 시 산야초나 흑색 비닐로 피복해 수분 증발을 억제해야 한다.

 

과수는 7~15일간 30㎜ 이상 강우가 없을 때 5~7일 간격 관수할 것을 권장한다. 4~5월 개화기 건조 시 관수 처리로 착과율이 향상된다.

 

뿌리 주변 지면에 퇴비, 짚, 풀 등을 깔아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조기에 꽃봉오리와 열매 솎기를 하면 양분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울산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봄철 가뭄은 기후변화로 인해 점차 심화되는 추세로, 농업인들이 작목별 관리 기술을 활용해 피해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농업인들은 실시간 기상 예보와 토양 상태를 확인하며 적절한 대응을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는 울산시농업기술센터(대표전화: 052-247-8301)로 연락하면 된다.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