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영풍 측이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추천한 김광일 MBK 부회장이 국내에서만 18개 기업에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회장이 고려아연의 이사회까지 합류할 경우, 겸직하는 등기임원직은 19개로 늘어나게 되며, 중국 등 해외인수 업체에 이름을 올린 것까지 더할 경우 20곳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MBK-영풍 측은 고려아연의 ‘거버넌스 개선’ 등을 명분으로 이사회에 진입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김 부회장의 경우 여러 기업에서 주요 직책을 겸직하고 있어 고려아연 ‘거버넌스 개선’ 슬로건과는 다소 동떨어져 보인다. 김 부회장 같은 이른바 ‘문어발 겸직’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롯데카드와 오스템임플란트 등 사모펀드 MBK 인수기업들의 공시 등에 따르면, 김 부회장은 대표이사 1곳, 공동대표이사 2곳, 사내이사 1곳, 기타비상무이사 13곳, 기타비상무이사 겸 감사위원 1곳 등 여러 기업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고 있다.
특수목적법인(SPC) 등을 제외하고도 김 부회장의 겸직 수는 총 9개에 달한다. △홈플러스 대표이사 △딜라이브 기타비상무이사 △딜라이브 강남케이블TV 기타비상무이사 △네파 기타비상무이사 △엠에이치앤코 기타비상무이사 △롯데카드 기타비상무이사 △오스템임플란트 기타비상무이사 △오스템파마 기타비상무이사 △메디트 기타비상무이사 등이다.
이에 따라 국내 3대 의결권자문사인 서스틴베스트는 “과다한 겸임으로 인해 기타비상무이사로서 충실의무를 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김 부회장의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안에 ‘반대’ 의견을 권고했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글래스루이스, 한국ESG연구소, 한국ESG평가원 등도 김 부회장의 이사회 합류에 부정적 의견을 냈다.
반면 MBK-영풍 측은 ‘고려아연 임시주총 의안 분석 및 의견 자료’를 통해 “김 부회장이 MBK 주요 투자 실적 건 기업의 인수합병과 투자 전략 수립을 주도했다”며 “법률적 전문성 및 재무 전략 능력 고려 시, 고려아연의 중장기 비전실천 및 경영 안정화를 위한 M&A, 재무, 법률, 회계 전문가로서 최적임 후보로, 기업성장 및 가치 증대에 핵심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