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尹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조작설 제기? 김진표 회고록 후폭풍

대통령실‧與 “멋대로 왜곡한 개탄스런 일” 반박…野 “진위를 분명히 밝혀라” 총공세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4.06.28 09:39:35

윤석열 대통령(왼쪽)이 지난 1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4년 신년 인사회에서 당시 김진표 국회의장과 반갑게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진표 전 국회의장이 본인의 회고록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10·29 이태원 참사에 대해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폭로해 정치권에 파장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김 전 의장은 28일 공개된 ‘대한민국은 무엇을 축적해왔는가’라는 자신의 회고록을 통해 “지난 2022년 12월 5일 국가조찬기도회에서 윤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이태원 참사에 대한 책임을 물어 ‘이상민 장관이 이태원 참사에 대해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는 것이 맞다’고 조언했다”고 전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김 의장 말이) 다 맞으나 이태원 참사에 관해 지금 강한 의심이 가는 게 있어 아무래도 결정을 못하겠다”면서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 그럴 경우 이 장관을 물러나게 하면 억울한 일”이라고 답했다고 김 전 의장은 밝혔다.

그러면서 김 전 의장은 윤 대통령의 반응에 대해 “극우 유튜버의 방송에서 나오고 있는 음모론적인 말이 대통령의 입에서 술술 나온다는 것을 믿기 힘들었다”고 회고하면서 “윤 대통령의 의구심이 얼마나 진심이었을지는 알 수 없으나, 상당히 위험한 반응이어서 ‘그런 방송은 보지 마십시오’라고 말하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았지만, 꾹 참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전 의장은 10·29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태에 대해 “대통령이 결정하지 않으면 주변 이들이 강하게 진언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아무도 대통령에게 ‘노’라고 말하지 않은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앞날을 가늠하게 된 첫 지표”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김 전 의장과 윤 대통령이 그 같은 대화를 나눈 지 6일 뒤 국회에서는 야당 주도로 이 장관 해임건의안이 통과됐지만, 참사 직후부터 “책임은 있는 사람에게 (책임을) 딱딱 물어야지, 막연하게 다 책임지라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 장관 사퇴 요구론에 선을 그었던 윤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같은 이 장관 거취 논란은 지난해 2월 헌정사 최초의 국무위원 탄핵소추안 국회 통과로 이어졌으나 그해 7월 헌법재판소가 이를 기각한 것은 물론, 참사 후 책임에 대처하는 윤석열 정부의 태도 논란도 사그라들지 않았고, 결국은 김 전 의장의 폭로로 또다시 불거지게 된 것이다.

이 같은 회고록 내용이 알려지자 민주당은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의 이태원 참사에 대한 인식은 입을 다물 수 없을 만큼 충격적”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의무가 있는 대통령이 할 말인가?”라고 반문하면서 강하게 비판했다.

그리고 민주당은 “윤 대통령은 극우 유튜버들의 주장에 빠져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도식에도 참석하지 않고 이태원 참사 특별법도 거부했던 것인가?”라며 “발언의 진위 여부에 대해 분명하게 밝히라”고 요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민주당의 전직 국회의장까지 나서서 이러한 행태를 보이니 참으로 개탄스럽다”며 “재난을 정쟁 소재로 삼고 여론조작을 일삼아 온 민주당의 ‘못된 습관’이 다시 시작됐다”고 비난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지금이라도 근거 없는 기록을 취소하고 사과하라”며 “국회의장까지 지낸 분이 정부의 진정성 있는 수습 노력은 모두 지우고, 대통령과의 내밀한 대화를 왜곡해 기록했다는 사실이 정말 믿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민주당은 언제나 진실규명에 관심이 없고 ‘재난의 정쟁화, 정쟁의 일상화’에만 몰두해 왔다”며 “사회적 재난을 정치의 도구로 악용하는 민주당의 모습에 분노가 치민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용산 대통령실도 대변인실 명의 공지를 내고 “국회의장을 지내신 분이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해 나눴던 이야기를 멋대로 왜곡해 세상에 알리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반박하면서 “대통령은 당시 관계 기관 회의가 열릴 때마다 언론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혹을 전부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으며, 특히 사고 당시 119 신고 내용까지 다 공개하도록 지시한 바 있고, 최근에는 이태원특별법을 과감히 수용했다”고 주장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