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핫] 윤석열, 전두환 조문 논란...왜 유독 전씨 챙기나?

윤 “간다. 안간다” 오락가락...유력 정치인들 모두 조문 거부

심원섭 기자 2021.11.24 10:15:23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23일 오후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빈소가 마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전두환 옹호’ 발언으로 곤욕을 치른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3일 사망한 전두환 전 대통령을 조문하겠다고 밝혔다가 철회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여야 주요 정치인들이 조문을 거부했음에도 유독 윤 후보만 조문을 가겠다고 밝혀 첫번째 논란이 일었고, 몇시간 뒤 이를 철회해 '언행이 가볍다'는 논란에 다시 휩싸인 것이다.  

 

윤 후보는 23일 전 전 대통령의 사망 소식을 전해듣고 “돌아가신 분에 대해서는 삼가 조의를 표하고 유족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애도를 표한 데 이어, 기자들에게도 “언제 갈지는 모르겠지만 전직 대통령이시니까, 일정을 봐서 가야되지 않겠나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공보실은 윤 후보가 조문 입장을 밝힌 지 2시간 여 만에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전직 대통령 조문과 관련하여 윤석열 후보는 조문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고 전했다. 이는 섣불리 조문을 가겠다고 한 것이 자칫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주변의 염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한 관계자는 <CNB뉴스> 기자와 만나 “윤 후보가 오전에는 전두환씨 조문을 가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가, 2시간 만에 번복한 것은 신중치 못한 윤 후보의 언행에서 비롯됐다. 준비 안 된 대선 후보의 미숙한 정치 행보에 국민은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다른 한 관계자도 “윤 후보는 '전두환 대통령은 정치는 잘했다'는 망언을 한 뒤 사과 아닌 사과로 일관하다, 결국 개 사과 논란까지 불러일으켰다. 전두환이 정치를 잘했다고 전 국민 앞에 칭찬했으니 조문을 가고 싶었을 것이지만 주변의 만류로 결국 눈치를 보느라 소신을 접은 셈이다. 윤 후보의 진심은 무엇인가”라고 꼬집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3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당내 경선에서 경쟁했던 후보들과 오찬을 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에 따른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이날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디지털 대전환 공약 발표 후 간담회에서 기자들이 전 전 대통령 사망에 대해 질문하자 “우선 대통령 예우는 박탈당했으니까 호칭은 전두환 씨(氏)가 맞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후보는 “전두환씨는 명백하게 확인된 것처럼 내란, 학살 사건의 주범”이라며 “최하 수백명의 사람을 살상했던, 자신의 사적 욕망을 위해 국가권력을 찬탈했던,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에 대해 마지막 순간까지도 국민에게 반성하고 사과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기자들이 ‘빈소에 가느냐’고 질문하자 “현재 상태로는 조문할 생각이 없다”고 불가방침을 분명히 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지난 23일 세브란스병원 신촌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에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여사, 강창희 전 국회의장 등이 보낸 근조화환이 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민주당 송영길 대표도 자신의 SNS를 통해 “전두환 사망에 대하여 민주당은 조화, 조문, 국가장 모두 불가하다”며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이에 대한 정의를 세우는 길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도 “전두환 전 대통령 상가에 따로 조문할 계획이 없지만 당을 대표해서 조화는 보내도록 하겠다”면서 “당내 구성원들은 고인과의 인연이나 개인적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조문여부를 결정하셔도 된다”고 말했다.

청와대 박경미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끝내 역사의 진실을 밝히지 않고 진정성 있는 사과가 없었던 점은 유감이다. 청와대 차원의 조화와 조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전 전 대통령은 23일 오전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육사 11기로 12·12 신군부 쿠데타와 5·18 광주 학살로 집권한 그는 광주 5·18 민주화 운동 무력 진압에 대한 사과는 끝내 하지 않았고 발포 명령 여부도 부인했다.

(CNB=심원섭 기자)

맨 위로